주식시장에서 하락이 이어질수록 고객 예탁금과 신용잔고가 가지는 의미는 커지는데요. 예탁금이 많을수록, 신용잔고가 줄어들수록 바닥을 다지고 반등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주식 고객 예탁금 추이 확인방법과 신용잔고 보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글 하단에 이 둘을 한번에 조회하고 비율을 계산할 수 있는 팁도 알려드릴게요!
주식 고객 예탁금 확인 방법
흔히 투자자 예탁금, 주식 예탁금 등으로 불리는 주식 고객 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 계좌에 입금해 놓은 돈을 뜻합니다. 전체 주식 고객 예탁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이 있는데요. 바로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Portal입니다.
위 링크를 통해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Portal로 이동하시면 메인 페이지 왼쪽에서 바로 투자자예탁금 항목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2일 기준 투자자예탁금은 50,833,937백만 원입니다.
투자자예탁금 항목을 클릭하시면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상단 메뉴바에서 [주식-증시자금추이]를 선택하면 동일한 세부 내역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세부 내역에서는 일, 월, 분기, 연 단위로 투자자예탁금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장내파생상품 거래 예수금, 대고객 환매 조건부 채권(RP) 매도잔고, 위탁매매 미수금, 위탁매매 미수금 대비 실제 반대매매금액, 미수금 대비 반대매매비중 등의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표 우측 상단을 보시면 그래프 모양의 아이콘이 있는데,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각 항목별 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예탁금의 추이를 그래프로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첫 거래일인 1월 2일에는 투자자예탁금이 전 거래일 대비 4,385,501백만 원(9.44%) 증가한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주식 매수를 기다리는 대기자금이 풍부해진다는 건 증시에 긍정적인 신호겠지요.
신용잔고 보는 법
신용잔고는 신용거래를 통해 매수한 주식의 총잔고를 뜻합니다. 쉽게 말하면 빚을 내서 주식을 사는 것인데요. 주가가 하락할 경우 증권사에서 최소한의 돈이라도 확보하기 위해 강제로 해당 주식을 매도하기 때문에 주가 폭락을 불러일으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신용잔고 추이 역시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Portal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종합통계 Portal 메인 페이지를 보시면 위에서 살펴본 투자자 예탁금 항목 바로 밑에 신용융자 항목이 있는 걸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023년 1월 2일 기준 신용잔고는 16,531,124백만 원이네요.
투자자예탁금과 마찬가지로 신용융자 역시 해당 항목을 클릭하시면 세부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상단 메뉴바에서 [주식-증시자금추이-신용공여현황-신용공여 잔고 추이]를 선택하면 동일한 세부 내역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세부 내역에서는 일, 월, 분기, 연 단위로 신용잔고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신용거래대주, 청약자금 대출, 예탁증권 담보융자의 정보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
표 우측 상단에 있는 그래프 모양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각 항목별 추이를 그래프 형태로 볼 수 있습니다. 신용잔고(신용거래융자) 추이를 그래프로 살펴보겠습니다.
2023년 첫 거래일인 1월 2일에는 신용융자가 전 거래일 대비 12,477백만 원(0.08%) 증가한 걸 보실 수 있습니다.
다만 위에서 말씀드렸던 것처럼 신용잔고는 하락장에서 더 큰 하락을 불러오는 도화선이 될 수 있으니 유의해서 살펴보셔야 합니다. 지난 3년간의 신용잔고 추이를 살펴보면 2020년 3월 코로나 하락장에서 약 6.5조 원까지 줄어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반대매매가 펑펑 터진 이후에야 비로소 증시는 폭발적으로 반등했던 거죠.
다시 반등장을 기다리며
주식 고객 예탁금 (투자자 예탁금)과 신용잔고 추이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사실 주식 고객 예탁금과 신용잔고를 한번에 조회할 수 있는 교차통계라는 것도 있답니다. 교차통계로 두 데이터를 함께 엑셀로 추출해서 주식 고객 예탁금 대비 신용잔고 비율을 계산할 수도 있겠죠? 상세한 방법은 아래 글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고객예탁금 대비 신용잔고 비율 한번에 조회하고 계산하기]
1년 넘게 지속된 하락장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심신이 크게 지쳐있을 것 같습니다. 언젠가 주식시장에 큰 유동성이 공급되고, 신용잔고가 바닥을 다지면 다시 반등할 날이 올테니 힘내서 그날까지 잘 버텨냅시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동성 돌파 전략 단점 (feat.젠포트 백테스트) (0) | 2023.01.06 |
---|---|
주식 호가 단위 변경 알아보기 및 찬반 의견 정리 (0) | 2023.01.06 |
파킹통장 대용 ETF 비교 (KODEX KOFR금리 액티브(합성), TIGER CD금리투자KIS(합성)) (0) | 2023.01.02 |
영구 포트폴리오 전략 소개 및 백테스트 결과 (0) | 2022.12.31 |
테슬라 주가 전망 및 주가 폭락 이유 (0) | 2022.12.29 |
댓글